본문 바로가기
질병 번호 확인하기

기타 세균성 장감염의 원인, 증상, 예방법, 합병증 및 질병 코드번호 알아보기

by 이리듬씨 2024. 9. 7.

질병 코드번호 A04 :기타 세균성 장감염 

 

질병 코드 번호 A04는 기타 세균성 장감염을 알리는 번호입니다. 

 

세균성 장감염은 주로 소화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증으로, 

다양한 세균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이 감염들은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탈수와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타 세균성 장감염은 흔히 알려진 

살모넬라, 시겔라 외에 다양한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장 감염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질병 코드번호 A04에 속하는 질병명들은?

 

질병 코드 번호 A04 기타 세균성 장감염(Other bacterial intestinal infections)
A04.0 장병원성 대장균감염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A04.1 장독소생산 대장균감염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A04.2 장침투성 대장균감염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infection)
A04.3 장출혈성 대장균감염 (Enteroha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fection)
A04.4 기타 대장균감염 (Other intestinal Escherichia coli infection)
A04.5 캄필로박터장염 (Campylobacter enteritis)
A04.6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에 의한 장염 (Enteritis due to Yersinia enterocolitica)
A04.7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에 의한 장결장염 (Enterocolitis due to Clostridium difficile)
A04.8 기타 명시된 세균성 장감염 (Other specified bacterial intestinal infections)
A04.9 상세불명의 세균성 장감염 (Bacterial intestinal infection, unspecified)

 

 

질병 코드번호 A04, 기타 세균성 장감염을 유발하는 공통 원인은?

 

세균성 장감염은 장 속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입니다. 

흔히 복통, 설사, 발열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며,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한 후에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기타 세균성 장감염은 여러 종류의 세균들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감염의 공통된 원인에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원인 1. 오염된 음식

 

세균성 장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이 세균에 오염되었는데, 

그 사실을 모른 채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덜 익힌 고기나 날것으로 먹는 음식등이 

세균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덜 익힌 닭고기에는

캠필로박터(Campylobacter)라는 세균이 있을 수 있으며, 

덜 익힌 소고기나 오염된 채소에는 대장균(E.coli)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인 2. 오염된 물

 

깨끗하지 않은 물도 세균성 장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위생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물이 쉽게 세균에 오염될 수 있습니다. 

이 물을 마시거나 조리 과정에 사용하게 되면 

세균이 몸 안으로 들어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티푸스(Typhoid fever)를 유발하는 

살모넬라균은 오염된 물에서 전파될 수 있습니다. 

 

 

원인 3. 위생 관리 부족

 

손 씻기와 같은 기본적인 위생 관리를 소홀히 하면 

세균성 장감염이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음식을 준비하기 전에 손을 제대로 씻지 않는다거나, 

화장실을 사용한 후 손을 씻지 않으면

세균이 음식이나 물건에 묻을수가 있습니다. 

 

이 세균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면 장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노로바이러스나 로타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성 장감염과 비슷하게

세균성 장감염도 이러한 경로로 퍼집니다. 

 

 

원인 4. 오염된 환경에서의 음식 보관

 

음식을 적절히 보관하지 않으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습니다. 

상온에 방치된 음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여름철이나 따뜻한 날씨에서는 세균이 더 빠르게 번식할 수 있어, 

음식을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즉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 보관된 음식은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세균성 장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원인 5.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세균성 장감염은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정이나 학교 같은 공동체 환경에서는 

이러한 감염이 더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이 음식을 준비하거나, 

다른 사람과 물건을 공유할 때 세균이 옮겨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염자가 화장실을 사용한 후 

손을 씻지 않고 다른 사람과 접촉하면 세균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원인 6. 동물과의 접촉

 

일부 세균성 장감염은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축이나 애완동물과 접촉할 때

세균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닭, 소, 돼지와 같은 가축은 

캠필로박터, 살모넬라 등 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농장에서 일을 하거나 

동물과 가까이 지내는 경우에는 

위생 관리가 더욱 중요합니다. 

 

 

기타 세균성 장감염의 공통적인 증상은?

 

세균성 장감염은 장에 세균이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감염은 우리가 먹거나 마시는 음식과 물에서

세균이 몸속으로 들어오면서 발생합니다. 

세균성 장감염에 걸리면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다양한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장감염의 

공통적인 증상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상 1. 설사

 

세군성 장감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바로 설사입니다. 

설사는 장에서 물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몸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장에서 세균이 염증을 일으키면

소화 과정이 방해를 받아 물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혈변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설사는 몸에서 수분과 영양소가 빠져나가

탈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 2. 복통과 경련

 

감염된 세균이 장에 염증을 일으키면, 

복통과 경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부에 통증이 생기거나 쥐어짜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특히, 음식을 먹은 후 또는 배가 불편할 때 

이러한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복통은 장 내에서 세균이 활동하면서

장 벽을 자극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감염 증상이 심할수록 통증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증상 3. 복통과 경련

 

감염된 세균이 장에 염증을 일으키면, 

복통과 경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부에 통증이 생기거나 쥐어짜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며,

특히 음식을 먹은 후

또는 배에서 불편감이 느껴질 때 이러한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복통은 장 내에서 세균이 활동하면서 

장 벽을 자극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감염이 심할수록 통증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증상 3. 발열 

 

장감염이 발생하면 몸에서 세균과 싸우기 위해서

열이 날 수가 있습니다. 

발열은 몸이 세균을 제거하려는 면역 반응의 일환입니다. 

보통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나며, 

열이 나면서 몸이 떨리거나 춥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감염이 심해질수록 열이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이는 장 감염의 중요한 신호 중 하나입니다. 

 

증상 4. 구토 및 메스꺼움

 

장감염을 일으킨 세균은 위와 장에 영향을 미쳐 

구토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몸은 세균을 제거하려는 반응으로

음식을 소화하지 못하고 밖으로 내보내려 합니다. 

구토는 세균성 감염의 초기 증상으로 자주 나타나며, 

특히 음식을 먹은 직후 메스꺼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 5. 피로감과 무기력함

 

세균성 장감염에 걸리면 

우리의 면역체계가 세균과 싸우느라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됩니다.

또한, 설사나 토로 인해 체내 수분과 영양소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피로감과 무기력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탈수 증상이 심해지면 피곤함이 더 커지며,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하기가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증상 6. 탈수

 

설사와 구토가 지속되면 몸에서 많은 양의 수분이 빠져나가

탈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탈수는 세균성 장감염에서 가장 위험한 증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탈수 증상으로는 입이 마르고, 

소변 색이 짙어지며, 

심한 경우에는 어지러우증과 의식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심한 탈수는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병원에서 수액을 맞아야 할 수 있습니다. 

 

 

세균성 장감염의 증상들이 위험한 이유는?

 

세균성 장감염이 유발하는 증상들은 

단순히 불편한 정도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특히, 영유아, 노약자,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심한 설사와 탈수는 몸의 전해질 균형을 깨트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는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염 증상이 나타난다면 

충분한 수분 섭취와 함께 병원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세균성 장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세균성 장감염을 예방하려면, 

일상생활에서 철저한 위생 관리와 식품 안전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1. 손 씻기

 

손을 자주 씻는 것은 세균성 장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방법입니다. 

음식을 먹기 전, 화장실 사용 후, 

또는 음식을 준비하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세균은 손을 통해 음식이나 입으로 옮겨질 수 있기 때문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이 좋습니다. 

 

 

2. 음식 충분히 익혀 먹기

 

고기, 달걀, 해산물 등은 완전히 익혀서 먹어야 

세균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덜 익힌 닭고기에는

캠필로박터(Campylobacter)라는 세균이 있을 수 있으며, 

덜 익힌 쇠고기나 날달걀에는 대장균(E.coli)이나 

살모넬라(Salmonella)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고기는 속까지 충분히 익혀 

세균이 사라지도록 해야 합니다. 

 

3. 깨끗한 물 마시기

 

깨끗하지 않은 물을 마시면 장에 세균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돗물의 위생 상태가 불확실한 지역에서는 

정수된 물이나 끓인 물을 마셔야 합니다. 

또한 음료를 만들 때나 얼음을 사용할 때도 

물의 청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음식 보관시 주의하기

 

음식은 실온에 오래 두면 세균이 번식할 수 있습니다. 

조리된 음식은 냉장고에 보관하고, 

상한 음식은 절대로 먹지 않아야 합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음식을 상온에 오래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남은 음식은 빨리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위생적인 조리 환경 유지하기

 

음식을 준비할 때 사용하는 주방 도구, 

도마, 칼 등은 항상 깨끗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날고기나 생선, 달걀을 처리한 후에는 

도구를 철저히 씻고 소독해야 교차오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위생적인 조리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기타 세균성 장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은?

 

세균성 장감염이 심해지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은 세균이 장을 넘어 다른 기관에 영향을 미치거나, 

심각한 탈수를 일으켜 체내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탈수

 

설사와 구토가 지속되면

몸에서 많은 양의 수분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이것을 탈수라고 하며,

탈수가 심해지면 몸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탈수가 심하면 환자는 

어지럼증, 피로감, 입이 마르는 증상등을 경험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의식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어린 아이나 노약자는 특히 탈수에 더 취약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전신 감염 (패혈증)

 

장내 세균이 혈액으로 들어가면 패혈증(Sepsis)이라는 

심각한 전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패혈증은 온몸에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발열, 호흡 곤란, 혈압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상태로, 즉각적인 병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3. 혈변 및 장출혈

 

특정한 세균성 장감염은 

장 벽에 손상을 주어 혈변(피가 섞인 설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장에 심각한 염증이나 궤양이 생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장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출혈은 중대한 문제로, 

피가 계속해서 나오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만 합니다. 

 

 

4. 용혈성 요독 증후군 (HUS)

 

특정 대장균(E.coli) 감염은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HUS는 주로 어린아이에게 발생하며, 

신장 손상과 빈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신부전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5. 장 천공 및 복막염

 

세균성 장감염이 심해지면 장 벽에 구멍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장 천공이라고 합니다. 

장 천공이 발생하면 장 안의 내용물이 복강으로 퍼지면서

복막염(Peritonitis)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막염은 복부의 심각한 염증 상태로, 

매우 위험한 상황이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