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번호 확인하기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의 원인, 증상, 예방법, 합병증 및 질병 코드번호 알아보기

by 이리듬씨 2024. 9. 11.

A05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의 질병 코드번호

 

A05 질병 코드번호는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을 알리는 번호입니다. 

 

음식매개중독은 음식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세균이 

문제를 일으킬 때 발생합니다. 

특히,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이란 용어는 

특정 세균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거나 

여러 종류의 세균이 원인일 수 있을 때 사용됩니다.

 

이러한 식중독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이 오염된 음식에서 증식하면서 발생하며, 

그 결과 몸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질병 코드번호 A05에 속하는 질병명들은?

 

 

A05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 (Other bacterial foodborne intoxications)
A05.0 음식매개포도알균중독 (Foodborne staphylococcal intoxication)
A05.1 보틀리눔중독 (Botulism)
A05.2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클로스트리듐 웰치]에 의한 식중독 
(Foodborne Clostridium perfringens [Clostridium welchii] intoxication)
A05.3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 (Foodborne Vibrio parahaemolyticus intoxication)
A05.4 바실루스 세레우스에 의한 식중독 (Foodborne Bacillus cereus intoxication)
A05.8 기타 명시된 세균성 식중독 (Other specified bacterial foodborne intoxications)
A05.9 상세불명의 세균성 식중독 (Bacterial foodborne intoxication, unspecified)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의 원인은?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은

특정한 세균을 명확하게 지목하기 어렵지만, 

여러 세균이 음식을 통해 몸에 들와 발생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아래의 글은 이러한 세균성 식중독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에 대한 설명입니다. 

 

 

1. 부적절한 음식 보관 방법

 

음식은 적절한 온도에서 보관해야만 

세균이 번식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음식이 너무 오랫동안 상온에 방치되면

세균이 빠르게 번식하게 되죠. 

 

특히 고기, 유제품, 생선 같은 음식들은 

실온에 두면 더 빨리 상할 수 있습니다. 

 

 

2. 오염된 식재료 사용

 

식재료 자체가 이미 세균에 오염되어 있을 때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고기, 생선, 채소 등에는 자연적으로 세균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재료가 제대로 세척 처리되지 않을 경우, 

그 세균이 음식을 통해 우리 몸으로 들어와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조리 과정에서의 문제

 

음식을 조리할 때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충분히 익히지 않으면 세균이 살아남을 수 있고, 

조리를 한 후에도 세균이 다시 음식에 오염될 수 있습니다. 

조리 중 생고기와 다른 음식이 접촉한다거나, 

손이나 도구가 제대로 세척되지 않는다면 

교차 오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4. 개인 위생 관리 부족

 

개인위생 관리가 소홀할 때에도 

세균이 음식에 옮겨지면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음식을 준비하거나 먹기 전에 손을 씻지 않으면 

손에 묻어있는 세균이 음식으로 옮겨질 수 있습니다. 

특히, 화장실을 다녀온 이후 손을 제대로 씻지 않는다면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오염된 물 사용

 

식자재를 씻어내거나,

조리를 할 때 사용하는 물이 깨끗하지 않다면, 

그 물을 통해서 세균이 음식으로 옮겨갈 수 있습니다.

 

특히 생채소나 과일을 씻을 때 오염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세균이 그대로 남아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6. 상한 음식 섭취

 

음식이 상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나면 세균이 더 많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냄새가 이상하거나 맛이 변한 음식은 섭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상한 음식에는 세균이 많이 자라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섭취하게 되면 심각한 식중독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의 증상은?

 

세균성 음식매개중독에 걸리면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식중독의 증상들은 음식에 붙어있던 세균이 

우리의 몸속으로 들어와 영향을 미칠 때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증상은, 음식을 섭취한 이후 몇 시간 안에  빠르게 나타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며칠 뒤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와 세균의 종류에 따라 

증상의 강도와 지속 시간이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